몫 구하기
def solution(num1, num2):
    answer = 0
    answer = num1 // num2
    return answer
 
배열의 유사도
# 방법1: for문
def solution(s1, s2):
    answer = 0
    for i in s1:
        if i in s2:
            answer += 1
    return answer
# 방법2: set
def solution(s1, s2):
    return set(s1) & set(s2)
# 방법3: 함수
def solution(s1, s2):
    return len(set(s1).intersection(set(s2)))
숫자 찾기
def solution(num, k):
    answer = []
    for i in str(num):
        answer.append(i)
    if str(k) in answer:
        return (answer.index(str(k))+1)
    else:
        return -1
# 방법2: 추후 공개
def solution(num, k):
    if str(k) in str(num):
        return str(num).find(str(k))+1
    else:
        return -1
def solution(num, k):
    answer = str(num).find(str(k))+1
    return -1 if answer == 0 else answer
def solution(num, k):
    return str(num).find(str(k))+1 if str(num).find(str(k)) != -1 else -1
find 함수는 인덱싱 값을 리턴. 없으면 -1 리턴.

str.find(sub[,start[,end]])

 
개인과제 해설
pip 의존성 : pip에 의존성이라는 것이 있어, 필요한 것을 설치하게 된다.
 
작업 순서 : 모델링 , views 필요한 기능 함수와 주석을 적어놓는다. , urls, 포스트맨으로 기능 동작 확인. views 코딩하면서 sirializer 작성.
 
세션과 jwt의 로그아웃 :
콘서트장 입장 시 입장 권한은 티켓으로 확인.
세션 : 주문번호
세션은 서버 DB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핸들링이 쉽다.
jwt : 구매자,구매일자, 만료기간, 티켓 서명(데이터의 유효성)
서버는 티켓서명과 만료기간을 확인
 
is_valid() 사용 시 두가지 방법이 있다.
is_valid(raise_exception=True)
에러시 에러만 띄워줄 때.
is_valid() 
에러시 특정 로직 추가 할 시 사용.
 
시리얼라이즈
extra_kwargs 로 각 필드에 속성을 줄 수 있다.
 
write_only 와 exclude 차이.
exclude는 필드를 제외시켜 필드를 사용 할 수 없게 된다.
 
patch 와 put의 차이
put은 모든 필드를 다 보내줘야 하지만, patch는 수정할 필드만 보내도 수정이 가능하다.
 
회원탈퇴 시 데이터를 지우면 안된다.
실예로 회원탈퇴된 아이디 입니다를 출력해준다.
즉 비활성화만 시켜준다는 뜻.
is_active가 있는 이유가 그것이다.
 
실제 서비스에선 회원탈퇴와 휴먼계정을 구분해줘야한다.
 
행은 가로
열은 세로
 
파이썬 300제 195
result = []
data = [
    [ 2000,  3050,  2050,  1980],
    [ 7500,  2050,  2050,  1980],
    [15450, 15050, 15550, 14900]
]
for i in data:
    sub=[]
    for v in i:
        sub.append(v * 1.00014)
    result.append(sub)
print(result)
 
파이썬 300 197
ohlc = [["open", "high", "low", "close"],
        [100, 110, 70, 100],
        [200, 210, 180, 190],
        [300, 310, 300, 310]]
for i in ohlc[1::]:
    if i[3] >= i[0]:
        print(i[3])
#문제를 잘보자. 이상인지 초과인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