퓨어 장고 때 공부 방법이 잘 못되어서 머리에 남은게 없어서 다시 보기 시작. 알고리즘도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듯 하다. 영어 공부 많이 해서 공식문서 잘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.
- 별 표현식 : 패킹과 언패킹을 할 수 있다.
- 패킹 = 변수와 인자의 수가 달라도 패킹으로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.
- 언패킹 = 리스트의 요소를 하나씩 꺼내어 준다.
- 프린트를 잊지 말자.
- 딕셔너리에 여러 원소를 추가할 때 꼭 하나씩 키 밸류를 다 적어줘야하는 방법 밖에 없나? 딕셔너리를 만들어서 update를 사용하면 된다.
- 딕셔너리 안에 리스트나, 튜플을 만들 수 있다.
- 딕셔너리 추가 : update로 할 수 있다.
- zip : 두 리스트를 묶어준다. 0과 0, 1과 1 .... iterable로 출력이 가능하다.
- >= : 순서를 기억하자. 자꾸 틀린다.
- if True : if True는 디폴트다.
- endswith 사용법 : 변수.endswith(접미사,시작 인덱스,끝인덱스)
fruit = {"봄" : "딸기", "여름" : "토마토", "가을" : "사과"}
a = input()
if a in fruit:
print('정답')
else:
print('오답')
#이런 상황에서 분기문에서 fruit의 디폴트 값은 키에서 찾는다.
- islower() : 소문자인지 대문자인지 불리언으로 리턴 한다.
- 딕셔너리[이름] : 이렇게 적으면 이름의 vlaue가 호출 된다.
- 슬라이스의 범위 : 슬라이스는 [:3]이면 3 전까지 출력이 되는 걸 기억하자.
- 알고리즘을 짤 때 편한 방법이 있는지 한번 더 생각을 하자.
- 숫자 분기문 : 분기문을 사용할 때 숫자라도 문자인지 숫자인지 잘 파악하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