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상속 받지 않을 클래스는 괄호가 없어도 괜찮다.
-
클래스를 만들기 전에 상속 시켜줄 공통 부분을 생각한 후 만들어야 한다.
-
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코드를 하나씩 짜면서 진행하는게 아니라 큰 틀을 잡고 주석으로 설명을 넣으면서 큰 단위에서 작은 단위로 코딩을 한다.
-
들여쓰기가 정말 중요하다.
-
휴먼에러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코드를 짠다.
-
예약어나 함수랑 변수의 이름이 같지 않게 만들어줘야한다. 굳이 해야겠다면 _언더바로 구분을 해주자.
enumerate 문법
b = {i:x for i, x in enumerate(a)}
딕셔너리 형태로 반복문이 출력.
player = Player(player_name, 100, 100, 100, 100)
monster_select = int(input('몬스터 선택해주세요'))
monster_list = [
Monster('주니어바록', 100, 10),
Monster('바록', 100, 10),
Monster('주니', 100, 10),
]
monster_dict = {i: x for i, x in enumerate(monster_list, 1)}
monster = monster_dict[monster_select]
위에 방법처럼 할 필요 없이 딕셔너리로 잘 선언해준다면
monster_select = input()
if monster_select in monster_dict.keys():
monsger = monster_dict[monster_select]
로 짤고 몬스터 편하게 만들 수 있다.
input은 기본적으로 문자열로 출력이된다. int로 바꿔줘야 알아먹는다. 딕셔너리의 1이 int니까.
def action1():
print("action1")
def action2():
print("action2")
2
a = {
1: action1,
2: action2,
}
user_input = int(input())
a[user_input]()
딕셔너리 키 밸류 출력하기.
print(a.value()) 키 값만 출력
print(a.keys()) 밸류 값만 출력
print(a.items()) 키, 밸류값 출력
rich : 터미널 출력을 예쁘게 해주는 기능
logging : 소프트웨어가 실행 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추적하는 수단.
리치와 로깅을 같이 쓰면 더 예쁘게 출력 된다. 이 정도 까지만.
other.hp = max(other.hp - damage, 0)
이것의 뜻은 other의 hp는 other의 hp에서 damage를 뺀 값과 0이 최대라는 뜻이다. 음수로 떨어지지 않는다. 이게 더 안전한 방법이라고 한다. hp가 음수일 때 의도치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.
Validation(밸리데이션) : 입력된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 검증하는 것을 말한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8일차] TIL : 오늘 뭘 했나... (0) | 2023.04.06 |
---|---|
[17일차] TIL : 장고 1주차 2주차 (0) | 2023.04.05 |
[16일차] TIL : TIL / WIL을 잘 쓰도록 하자! , 처음 장고 시작! (0) | 2023.04.03 |
TIL super() , return (0) | 2023.03.29 |
[5일차] TIL : TIL 작성 잘 해야 크게 간다! (0) | 2023.03.17 |